호박꿀단지 늙어서 껍질이 단단하고 씨가 잘 여문 호박을 청둥호박이라 한다. 모양이 맷돌처럼 둥글납작하다 해서 맷돌호박이라 하고 잘 성숙한다는 뜻에서 숙과용 호박이라고도 부른다. 호박은 잘 익을수록 당분이 늘어나 단맛이 증가한다. 따라서 청둥호박의 당분은 소화 흡수가 잘 되어 위장이 .. 萍 - 저장소 ㅁ ~ ㅇ/우리 음식 이야기 2014.10.23
대추고(大棗膏) 햇대추가 나오는 가을이다. 예로부터 대추는 우리 음식에서 제사음식,혼례음식 등의 전통의례음식에 빠져서는 안 되는 귀중한 식품이다. 우리 음식에 대추를 이용한 음식으로는 대추편,약식,약편,설기,단자 등의 떡 종류와 대추조림,대추초,대추차, 고명 등이 있다. 대추는 예로부터‘양.. 萍 - 저장소 ㅁ ~ ㅇ/우리 음식 이야기 2014.10.15
두부전골 찌개와 전골의 차이점은 찌개는 한 가지 재료를 중심으로 조리하는 데 비해 전골은 여러 가지 다양한 재료를 넣고 함께 끓인다는 것이다. 전골은 신선로와 같이 궁중이나 반가에서 즐기는 음식이었고 찌개는 일반인들이 즐겨 먹는 소박한 음식이었다. 두부전골도 반가에서 먹는 음식이.. 萍 - 저장소 ㅁ ~ ㅇ/우리 음식 이야기 2014.10.08
국화주(菊花酒) 우리나라는 계절의 향기를 즐기는 독특한 절기주 문화를 가지고 있다. 가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가을 국화를 넣어 빚은 국화주(菊花酒)는 첫맛이 강한 국화향으로 퍼지다가 달콤한 향으로 마무리되는 좋은 술이다. 국화주 만드는 법은 감국(甘鞠)을 따서 햇볕에 말려 담는 방법과,국.. 萍 - 저장소 ㅁ ~ ㅇ/우리 음식 이야기 2014.10.01
순무섞박지 강화도에는 1000여년 전부터 재배해온 것으로 알려진 순무가 있다. 순무는 십자화과 채소로 유황 성분 때문에 조금 매운 맛이 난다. 고려시대 향약구급방에 순무의 종자가 약재로 기록되어 있으며 고려시대 이규보가 지은 동국이상국집의 가포육영(家圃六泳)에 외,가지,순무,파,아욱,박의.. 萍 - 저장소 ㅁ ~ ㅇ/우리 음식 이야기 2014.09.24
게장 우리나라에서 게장을 먹은 기록은 산림경제,자산어보,규합총서,임원경제지 등 수많은 문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1800년대 이전부터는 게장을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게장 담그는 법도 다양한데 우선 산림경제부터 살펴보자. 산림경제에 소금과 술을 같이 사용한 술지게미로 절여서 담.. 萍 - 저장소 ㅁ ~ ㅇ/우리 음식 이야기 2014.09.17
손목저림 잡는 ‘닭가슴살’… 도톰한 분홍빛 ‘신경비타민’ 신경전달물질 형성 비타민B6, 닭가슴살 100g에 0.53㎎ ‘풍부’ 최근 다이어트 식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닭가슴살이다. 인기 연예인들이 다이어트 식단을 공개할 때에도 가장 자주 거론되는 것도 닭가슴살이다. 대표적인 것이 샐러드로 닭가슴살을 비타민,식이섬유 등.. 萍 - 저장소 ㅁ ~ ㅇ/우리 음식 이야기 2014.09.03
송기 (松肌)떡 우리의 음식에 곡물가루를 반죽하여 찌거나 삶거나 지지는 방법으로 익혀낸 떡은 그 종류만도 무려 200여 가지가 된다. 떡에 들어가는 부재료도 콩,팥,수수,녹두,고구마 등 다양하다. 그중에 지금은 거의 잊혔지만 소나무 속껍질인 송기(松肌)를 잿물에 삶아 우려내어 멥쌀가루에 섞어 익.. 萍 - 저장소 ㅁ ~ ㅇ/우리 음식 이야기 2014.09.03
진도홍주 진도홍주는 고려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천년의 역사를 가진 민속주로서 조선시대 진상품 중의 하나 였으며 전라남도 지정 무형문화재 제26호(1994년 12월 5일·기능보유자 허화자·2013년 84세 별세)다. 진도의 특산물이 된 진도홍주는 고려 말엽 삼별초의 항쟁을 평정하러 진도에 왔던 몽.. 萍 - 저장소 ㅁ ~ ㅇ/우리 음식 이야기 2014.08.27
태평초 경북 영주시 순흥면에 가면 메밀묵 김치전골의 일종인 태평초를 맛볼 수 있다. 메밀묵 김치전골은 경북 안동,영주,순흥,예천의 별미음식이다. 궁중음식인 탕평채가 안동지방 양반가에서 먹던 음식으로 청포묵(녹두묵)에 쇠고기와 갖은 채소를 넣어 무쳐 먹는 데 비해 태평초는 청포묵 대.. 萍 - 저장소 ㅁ ~ ㅇ/우리 음식 이야기 201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