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주리듬이 정말 있는지 … 알고 싶어요. ▲ 달 - 동아DB 제공 "인간은 시적(詩的)으로 지상에 거주한다." - 휠더린 시야가 좁아서인지 필자는 천문학에 무관심한 편이지만 그래도 지구에서 별로 보이지 않는 두 천체 해와 달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천체를 아울러 ‘해와 달과 별’이라고 불렀다)을 보면 참 신비롭다는 생각이 든.. ♣ = M T = ♣ /과학카페 2013.08.05
적절한 보습제의 선택 크림과 로션형태가 대중적 보습제는 보습 기능이 포함된 모든 바르는 제품들을 말한다. 시중에는 정말 다양한 보습제들이 있어 어떤 것을 골라야 할지 난감하다. 보습제 종류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습윤제는 주변에서 수분을 끌어 당겨 피부를 촉촉하게 만들어 준다. 글리세린 .. ♣ = M T = ♣ /건강칼럼 2013.08.05
자외선 차단제 부작용 없나 피부엔 ‘도움’ 과용은 ‘금물’ 자외선 차단제를 제대로 고르고 올바르게 바르면 이제 우리 피부는 햇빛에 대하여 안전할까? 자외선 차단제가 자외선을 막는다지만 모든 자외선을 막아내지는 못한다. 아무리 자외선A까지 차단하는 PA+++의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자외선A .. ♣ = M T = ♣ /건강칼럼 2013.07.29
질투는 나의 힘! "당신을 지키기 위해 날 바꾸려 해요" “법대?” (아빠) “괜찮은 곳이에요.” (엘르) “너는 미인대회에서 2등까지 한 애야. 왜 사서 고생이야?” (엄마) “그래야 워너를 되찾죠.” (엘르) “넌 법대에 갈 필요 없어. 법대는 못생기고 지루한 사람만 가는 곳이야. 네겐 전혀 해당사항이 없.. ♣ = M T = ♣ /과학카페 2013.07.23
자외선 차단제 사용법 양과 횟수 중요…귀 아랫입술까지 자외선 차단제 사용에 있어 중요한 것은 바르는 양이다. 국내외 조사에 따르면 보통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바르는 양은 추천되는 양의 25~50% 정도에 그칠 정도로 적게 바른다. 아무리 SPF가 높고, PA 등급이 높고, 내수성이 좋은 제품이라도 적게 바른다면 .. ♣ = M T = ♣ /건강칼럼 2013.07.22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70만 년 전 말 게놈 해독 ▲ 몽골 초원에서 야생 상태로 살고 있는 프르제발스키 말.생김새가 보통 말과는 꽤 다르고 염색체 개수도 다 르지만 같은 종으로 분류하는 게 대세다. Claudia Feh 제공지난 해 초 국내 과학계는 난데없이 생물학 교과서 진화론 폐기 논란에 휩싸였다. 종교 계열 단.. ♣ = M T = ♣ /과학카페 2013.07.16
자외선 차단제 고르기 자외선‘A’도 신경 써야 여름휴가 시즌에 여러 가지 챙길 것이 많지만 그 중 꼭 들어가는 것 중 하나가 자외선 차단제다. 물론 자외선 차단제는 여름휴가와 상관없이 1년 365일 쓰는 것이 좋지만 바빠서 못 바르는 분들이라면 적어도 햇빛 강한 여름에라도 챙겨 쓰시기를 바란다. 인터넷.. ♣ = M T = ♣ /건강칼럼 2013.07.15
폐경기 생긴 건 젊은 여자만 좋아하는 남자들 때문? 흔들리는 ‘할머니 가설’ ▲ 여성 폐경은 여성 삶에 있어서 또 하나의 전환기다. /동아일보 DB “이 영화 놓치면 평생 후회하실 겁니다.” 인터넷과 IPTV가 보편화되면서 한 때 주말 밤 황금시간대를 장악했던 외화 프로그램도 어느새 사라졌다. 1970년대 중후반 아직 텔레비전이 흑백이던 .. ♣ = M T = ♣ /과학카페 2013.07.09
스님처럼 사는 것이 최상의 피부관리 여드름과 피부 트러블 여드름은 건강상에 문제는 없지만 얼굴을 지저분하게 보이게 하고 나중에 자국이나 흉터를 남기기 때문에 굉장히 신경 쓰이는 문제이다. 보통 10대 청소년에게 생긴다고 생각하지만 20~30대에게도 여드름은 지속될 수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늦은 나이까지 입 주변,.. ♣ = M T = ♣ /건강칼럼 2013.07.08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 수소 원자 모형 제안 100주년 나는 좀머펠트에게서 낙관주의를, 괴팅겐 사람들에게서는 수학을, 보어에게서는 물리학을 배웠다.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올해는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이중나선을 발견한지 60년이 되는 해다. 그런데 DNA 구조를 제안한 1953년 논문을 읽어보면 좀 .. ♣ = M T = ♣ /과학카페 2013.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