萍 - 저장소 ㅁ ~ ㅇ/문득 돌아본 그때 그곳

<24> 70년대 청년문화의 중심 ‘명동 청개구리의 집’

浮萍草 2013. 8. 30. 19:17
    김민기와 양희은이 처음 만났던… 숨막힌 청춘들의 ‘문화 비상구’
    1970년대는 격변의 시기였다. 냉전과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극도의 불안감이 팽배했던 당시 자유와 평화를 외치는 반전운동이 전 세계적으로 끓어올랐다. 그 중심에는 청년들이 있었다. 청년들을 하나로 만든 것은 모던포크와 록 같은 새로운 음악이었다. 군사정권에 의해 통제 분위기가 극에 달했던 답답한 현실에 당대의 젊은이들은 숨이 막혔다. 탈출하고 싶었다. 그러나 그들은 갈 곳이 없었다. 그 문화적 돌파구의 멍석을 서울 중구 명동1가 1-1에 위치한 서울YWCA에서 깔아 주었다. 한국 포크의 성지, 1970년대 청년문화의 중심으로 평가받는 명동 ‘청개구리의 집’이 탄생되는 시대적 배경이다. 1970년대는 기성세대들을 뒷방으로 물러나게 만든 청년들이 대중문화를 주도했던 새로운 시대였다. 청년문화는 흔히 통기타, 생맥주, 청바지로 대변된다. 세 가지 키워드로 당대의 청년문화 전체를 풀어낸다는 것은 언어도단이지만 그 중심에 통기타와 포크송이 있었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힘들다. 지금과는 달리 당대의 젊은이들은 놀 공간이 변변치 못했기에 다양한 문화를 향유할 기회가 적었다. 이에 서울YWCA는 청소년들에게 잠시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급한 대로 직원식당을 개조해 주일을 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오후 7∼9시 2시간 동안 개방했다. 43년 전인 1970년 6월 29일의 일이다.
    포크가수들이 1971년 서울YWCA 내 ‘청개구리의 집’에서 개최된 제2회 청개구리 사운드 공연에서 노래하고 있다. 최규성 씨 제공

    1970년 6월 29일 싱어송라이터 김민기(오른쪽)와 최경식이
    ‘청개구리의 집’에서 열린 창작 포크송 페스티벌에서 노래하고
    있다. 최규성 씨 제공
    음 서울YWCA의 의도는 달랐다. 저소득층의 젊은이와 외국에서 여행 온 젊은이들 그리고 지방에서 여행 온 젊은이들에게 싼값으로 숙소를 제공하는 유스호스텔과 비슷한 성격의 숙소를 마련하려 했다. 하지만 기금이 확보되지 않아 젊은이들이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라도 제공하고자 안뜰 구석 큰 버드나무 그늘 아래에 있던 단층 건물을 청개구리의 집으로 개조했던 것. ‘청개구리’라는 이름은 물가에 어울리는 버드나무의 이미지 젊은이의 반항정신, 끊임없는 도약의 의미였다. 60평이 넘는 넓은 실내 바닥에는 녹색 카펫을 깔았고 입장하는 사람은 모두 신발을 벗게 했다. 메뉴는 단 한 가지 콜라뿐이었다. 콜라 한 잔 값으로 99원을 내면 누구나 입장이 가능했다. 오후 7시 개장해 9시까지 운영된 청개구리의 집이 처음 오픈했을 때는 별다른 시설이 없었다. 의자도 테이블도 음향·조명시설도, 심지어 방석도 없었다. 창고에 카펫만 깔아놓은 소박한 풍경이었다. 손님 중에 기타를 들고 와 노래하는 친구가 생겨났고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주위로 옹기종기 모여 들었다. 이동할 수 있는 얕고 둥근 무대 옆에는 피아노가 있었다. 이후 인테리어에 신경을 쓰면서 천장과 벽도 모두 푸른색으로 칠해졌고 유리창마다 온통 연꽃잎이 그려져 있어 아늑한 연못 속에 들어온 분위기를 연출했다. 청개구리의 집은 일주일을 단위로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매일같이 가요평론가 이백천이 운영했던 포크살롱 ‘아베크 李’ 상설 연극프로 목요극장, 언더그라운 시네마, 클래식 음악강습회 요리강습 명사와의 만남 젊은이의 광장 토론회 각 나라 민속축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의자도 없는 불편한 공간이었지만 아무 불평 없이 바닥에 편안한 자세로 앉아 음악을 듣고 연극과 영화를 즐기며 문학과 낭만을 이야기했다. 외국 번안곡이 세상을 지배했던 그 시절, 이곳에서 우리 노래 창작운동의 불씨가 생성되었다. 아마추어 대학생 포크가수들이 하나둘 모여들어 자연스럽게 직접 그린 포스터를 붙이고 리사이틀 무대를 열기 시작했던 것. 1970년대 한국 포크 역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순간이다. 이곳에서 서울미대생 김민기와 재수생 양희은의 운명적 만남이 이뤄졌다. 양희은의 첫 모습은 화려한 의상이나 외모와는 거리가 멀었다. 선머슴애처럼 청바지 청남방 청색 운동화 그리고 생머리에 통기타가 전부였다. 청개구리의 집 공연에 참여했던 원로 평론가 이백천의 기억이다. “양희은이 청개구리에서 리사이틀을 했던 날 경기여고 동창생들이 몰려와 대성황을 이뤘어요.
    공연 후 어땠냐고 묻기에 ‘너무 흥분한 거 아냐? 좀 들떠 보였어’라고 말했는데‘나 노래 안 해! 다신 노래 안 해’라고 울음을 터트려 주위 사람들이 그를 달래느라고 애를 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가 스타로 떠오를지는 꿈에도 생각 못했죠.” 당대 거의 모든 포크가수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당대 거의 모든 포크가수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국내 최초로 여성포크 창작앨범을 발표했던 방의경 혼성듀엣 라나에로스포의 한민과 초대 여성 멤버 은희 최안순 남성듀엣 투코리언스의 김도향 손창철 서유석 송창식 윤형주 김세환 김영세 사월과 오월 이주원 최초의 시각장애인 가수 이용복도 청개구리의 집 단골손님이었다. 이용복은 등장 자체만으로 화제가 되었지만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 때문에 방송 출연이 쉽지 않았다. 그래서 아무런 제약 없이 노래를 부를 수 있었던 청개구리의 집에 매일같이 드나들었다. 1969년 서울대 회화과에 입학한 김민기는 그림물감 값이 부족해 고교동창 김영세와‘도깨비 두 마리’라는 뜻의 포크듀오 ‘도비두’를 결성해 대학가와 시내 음악다방 에서 노래생활을 시작했다. 학업보다 음악에 더 큰 매력을 느낀 김민기는 서울YWCA 청개구리의 집 창단멤버가 되었다. 김민기는 고교동창 임문일의 소개로 재동초교 동문인 양희은과 만나‘아침이슬’ 같은 시대를 상징하는 명곡들을 빚어냈다. 또한 그곳에서 인연을 맺은 평론가 최경식과 기독교방송 김진성PD의 지원으로 1971년 명반으로 회자되는 첫 독집을 발표했다. 서울음대 작곡과 여대생 김광희는 김민기의 1집과 양희은의 1 2집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며 힘을 보탰다. 청개구리 무대를 통해 다운타운 최고의 통기타 가수로 떠오른 양희은은 김민기와 이용복 김광희의 도움으로 1집을 발표해 한국 포크의 대모로서 첫 행보를 시작할 수 있었다. 모두 청개구리의 집이 만들어낸 소중한 인연들이다. 1970년 소박하게 오픈한 청개구리의 집은 입소문을 타면서 젊은이들이 몰려들었다. 6개월 후 유스센터 건립 모금을 위한 창작 포크송을 소개하는 페스티벌을 대강당에서 열었다. 평론가 최경식이 주관했던 이 공연에는 최양숙, 서유석, 김홍철, 송창식, 윤형주, 김세환, 서수남, 도비두, 라나에로스포, 에보니스, 아미고스, 미7사단 캄보밴드 등이 출연해 대성황을 이뤘다. 개관 1주년을 기념해 포크 페스티벌 ‘청개구리 사운드’를 개최했다. 이때는 서유석, 송창식, 윤형주, 김세환, 이용복, 쉐그린, 투코리안스 등이 참여해 언론에 대서특필되었다. 1년 남짓 운영 후 잘나가던 청개구리의 집은 갑작스럽게 문을 닫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적자 운영이었지만 젊은이들이 모여드는 이상 현상에 군사정권은 불안했을 것이다. 청개구리의 집은 10년마다 한 번씩 부활되는 전통을 지니고 있다. 1988년 ‘청개구리 마당’이란 이름으로 부활했었고 1990년대에도 이백천과 이정선이 주도해 부활 공연을 진행했었다. 디지털 세상으로 접어들기 시작한 지난 2003년에도 서울YWCA 바로 그 자리인 1층 마루홀에서 ‘청개구리 포크 콘서트’란 이름으로 부활했었다. 당시 부활 청개구리 공연은 아이돌의 댄스음악 일변도 대중문화에서 소외된 386세대 팬들이 직접 팔을 걷어붙이고 그 시절 정통 포크가수들을 다시 불러내면서 시작 된 일종의 대안문화운동이었다. 필자는 한국일보 기자 시절 1년 6개월 동안 이 공연의 운영자로 일한 인연이 있다. 당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오후 8시 서울YWCA 1층 마루홀은 100석 규모를 훨씬 넘는 180∼200여 명의 중년층이 몰려들어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붐볐다. 때론 자리가 없어 무대 앞에 주저앉아 2시간을 버텨야 했지만 불평 한마디 하는 법이 없었다. 1970년대 당시 포크 열풍의 중심세대였던 청년들은 어느덧 삶에 지친 중년세대로 변해 있었다. 그들이 한 달에 한 번 애오라지 포크음악에 취해 그들만의 문화를 만끽했던 것은 문화사각지대로 내몰린 소외감이 원동력이 되었다. 부활된 서울YWCA 청개구리 공연은 지친 중년들의 쉼터 역할을 넘어 포크송을 통해 젊은 세대들과의 교감이 이뤄지는 공간으로 거듭났다. 청개구리 1세대 서유석 이용복 김광희 방의경부터 김의철 윤연선 현경과 영애 박영애 양병집 이정선 그리고 김두수 이원재 이성원 나팔꽃 동인 이정미 전경옥 손지연, 박강수 손병휘 손현숙 등 통기타 가수들은 포크음악의 부활을 위해 의기투합했다. 특히 이틀에 걸쳐 진행된 고 김정호의 트리뷰트 공연은 지상파 8시 9시 뉴스를 타고 소개돼 대성황을 이뤘다. 1년 6개월 이어진 부활 청개구리 공연은 언론의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대중음악계의 한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았고 결국 7080 음악 부활로 이어졌다. ‘젊은이들에게 보람 있고 즐거운 대화의 공간을 마련해 준다’는 취지로 생겨난 서울YWCA 청개구리의 집은 김민기가 만들고 양희은이 노래한 국민가요 ‘아침이슬’이 처음 발표된 한국 포크의 성지로 평가받는다. 지금은 대형건물이 들어서 사라졌지만 1층에 위치한 마루홀은 청소년들의 문화공간으로 여전히 그 역할을 이어 가고 있다.
    Munhwa         최규성 대중문화평론가

     草浮
    印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