萍 - 저장소 ㅁ ~ ㅇ/식품보감

<7> 참외·멜론

浮萍草 2014. 7. 11. 09:49
    다른 듯 닮은 ‘힐링푸드’
    름의 대표 과일인 참외, 멜론 등은 사실은 채소에 해당한다. 
    채소는 먹는 부위에 따라 뿌리를 먹는 근채(根菜) 잎을 먹는 엽채(葉菜), 과실을 먹는 과채(果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참외와 멜론은 토마토, 가지와 같이 과실 부위를 먹는 대표적인 채소다. 
    다른 과채류와 달리 단맛과 청아한 향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아삭한 맛을 즐기는 식습관 때문에 싱싱한 참외를 선호하지만 며칠 동안 숙성을 시키면 당도가 오르고 향도 짙어져 더 맛이 좋다. 멜론 역시 숙성을 시키면 과육과 당도가 높아진다. 참외는 온도 5℃, 습도 90~95%에 최적으로 냉장 보관된다. 멜론은 수확 후 3~7일 정도 상온에서 숙성시킨 뒤 먹기 2~3시간 전 6~7℃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참외는 최근에는 엽산, 베타카로틴 등이 풍부한 건강 식품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참외는 수분(약 90%)을 제외한 대부분이 탄수화물이며 그 외에 칼륨 등 무기질과 비타민 함량이 풍부하다. 과채류 중 임산부에 좋은 엽산이 가장 풍부(100g당 132㎍ 정도)하게 들어 있다. 오렌지보다도 2.6배 많다. 참외 껍질의 베타카로틴은 레티놀로 변해 시력 보호에 효과가 있다. 과육의 칼륨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당뇨병 예방에 효과적이며 100g당 221㎎ 정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참외는 과육과 껍질도 함께 먹어야 좋은 식품이다. 참외 씨를 먹으면 배탈이 난다는 얘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상식이다. 참외 씨는 먹어도 문제가 없고 오히려 영양분 섭취에 효과적이다.


    멜론에 있는 영양분은 참외와 비슷하다. 안쪽이 당분이 더 많다. 녹색이나 황록색 과육은 비타민C가, 적색은 카로틴 등 비타민A가 많다. 참외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이뇨 작용과 몸을 식혀 갈증을 없애는 약재로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다. ‘동의보감’에는 참외가 진해(鎭咳),거담작용(祛痰作用)을 하고 풍담,황달,수종,이뇨에도 효과가 있다고 기록돼 있다. 민간에서는 덜 익은 참외의 열매 꼭지를 가루나 달임 약으로 만들어 변비 치료나 토사제로 활용했다. 유행성간염에 참외 꼭지 추출액을 한번에 3~5㎖씩 하루 두 번 복용하면 효과가 나타난다고 전해진다. 또한 알칼리성 채소로 산성 체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며 최근 항암 작용 등 많은 효능들이 밝혀지면서 ‘힐링푸드’로도 인식되고 있다. 껍질 아래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쿠쿠르비타신 성분은 항암 작용과 간 해독에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식이섬유인 펙틴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며 신경전달물질(GABA) 성분은 혈압을 내리는 작용을 종자에는 팔미톨레산,팔미트산,스테아르산,올레산,리놀레산 등의 기름이 25% 함유돼 있어 요통 등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여름 빙수가 사계절 즐겨 먹는 간식으로 바뀌고 웰빙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멜론 등은 과일 빙수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참외를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경북 성주군은 2010년 57가지의 참외 요리를 담은 ‘황금빛유혹’을 발간했다. 생활밥상(김치 떡볶이 등) 손님상차림(샐러드 탕수육 등) 다과상(약과 식혜 등) 영양 간식(잼 쿠키 등) 참외 제품(장아찌 와인 등) 등이 소개되고 있다. 판매가 어려운 낮은 품질의 과실을 활용하기 위해 산지 중심의 가공 상품 개발도 진행 중이다. 성주군은 주스와 시럽, 잼 등의 가공식품을 개발하고 있다. 멜론을 활용한 아이스크림으로는 메로나가 대표적이다. 메로나는 2008년부터 브라질에 수출됐다. 농식품 분야에서 지난해 한국이 브라질에 가장 많이 수출한 품목이다. 남미 아이스크림은 초콜릿 맛의 단단한 아이스바밖에 없었는데 메로나는 과일맛으로 부드럽고 쫀득한 식감이 현지인들에게 어필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지에서 2300원에 거래되고 있음에도 브라질에서 대표적인 디저트로 그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다. 이웃 일본의 예를 보면 고급 멜론의 판매 수익도 크지만 멜론의 향 맛 모양을 이용한 주변 산업도 활성화되고 있다. 일본 전역의 제과점과 편의점에서 볼 수 있는 멜론빵은 전 세계에서 오직 일본에만 있는 품목이다. 세계적인 수준의 유가공 제조 기술을 보유한 홋카이도에서는 우유 아이스크림 소다 과자 젤리 등 엄청난 수의 제품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또한 일본 산토리사의 ‘미도리’ 네덜란드의 볼스사 ‘볼스멜론’(BOLS Melon) 프랑스의 마리-블리자드사의 ‘그린멜론’ 등 칵테일에 쓰이는 증류주나 술 종류에도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국적인 느낌을 주는 특이한 음료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Seoull ☜       이희주 농촌진흥청 채소과 박사

     草浮
    印萍

    참외·멜론의 역사
    참외, 통일신라 때부터 재배 일반화… 멜론은 아프리카에서 전파 외와 멜론은 식물학적으로는 같은 작물이다. 멜론은 아프리카에서 기원해 메소포타미아부터 인도, 중국 접경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다가 세계에 전파됐다. 유럽 지역으로 전해진 것이 현재 서양 멜론이다. 머스크멜론,캔털루프,카사바 등으로 나뉘었다. 서아시아 지역부터 우리나라까지 동양으로 전파된 멜론은 참외형이 주종이었다. 우리나라의 참외 재배 역사를 살펴보면 삼국시대 이전에 중국에서 들어온 참외는 통일신라시대 때 이미 재배가 일반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동역사’(海東繹史)와‘고려사’(高麗史) 등 고문헌에 외(瓜) 첨과(甛瓜) 참외(眞瓜) 왕과(王瓜) 띠외(土瓜) 쥐참외(野甛瓜)에 관해 기록돼 있으며 조선 시대 유중림의 ‘증보산림경제’에는 참외 종류와 재배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참외는 문화예술의 소재로 이용되기도 했는데, 특히 이를 소재로 한 고려청자, 조선시대 미술품 등은 예술품으로서 가치를 높게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개구리, 열골, 감, 강서, 먹, 노랑, 깐치, 안종 참외 등 오이보다 살짝 단 정도에 초록색 과피를 가진 재래종을 재배했다. 1957년 일본에서 수입된 은천참외는 아삭한 식감에 높은 당도로 우리나라 참외시장에 대변혁을 가져오게 됐다. 이후 우리나라에 적합한 특성을 더한 신은천(중앙종묘·1974) 금싸라기(흥농종묘·1984)가 육성됐다. 신은천은 병에 강하고 과실의 품질을 높였으며 재배도 편리해 급속히 보급됐다. 금싸라기는 이에 높은 당도를 더해 현재 참외의 기준을 확립했으며 중국과 일본의 참외와는 다른 우리나라만의 참외를 만든 일등공신이었다. 한편 1세기쯤 이탈리아로 들어온 멜론(플리니의 ‘자연사’)은 로마 제국에 빠르게 전파됐으며 샐러드 등에 채소로 많이 이용됐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남부 유럽을 중심으로 품종 개량과 재배법이 개선되어 캔털루프 네트멜론 겨울멜론이 탄생하게 됐다. 네트멜론은 1570년 영국에 도입된 이후 온실에서 재배되어 영국계 온실 멜론이 발달했고 프랑스에서는 1629년 이후 재배가 일반화됐다. ‘삼총사’‘몬테크리스토 백작’으로 유명한 알렉상드르 뒤마는 프랑스 남동부의 카바이용 도서관에 자신의 저서 500권을 기증하면서 그 대가로 일년에 12개의‘카바이용 멜론’을 요구할 만큼 멜론에 대한 사랑이 극진했다고 한다. 아메리카 대륙에는 15세기에 이미 재배되고 있었고 17세기 미국 전역으로 전파됐으며 산업적으로 발달된 것은 1870년 이후로 멜론의 품종개량 재배기술,수송,저장 등이 발달하면서 산업으로 성장했다. 아시아에서는 기후가 건조한 중동과 중국 사막지대에서 재배가 많았으며, 품종에서 다른 대륙과 차이를 보인다. 즉 중국과 중앙아시아의 넓은 지역에서 재배됐으며 특히 이란과 터키에서 많은 품종이 생겨나고 품질도 높아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중국 신장성과 간쑤성의 건조 지역에서 당도가 높고 맛이 좋은 하미과(합밀과)가 넓게 재배되어 지역 특산물로 황제에게 진상되기도 했다고 한다.
    Seoul ☜

     草浮
    印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