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愛國者 & 賣國奴

'야스쿠니' 비난하면서… 17년간 순국선열 위패 방치한 韓國

浮萍草 2015. 8. 12. 12:00
    17년간, 아무도 찾지 않은 순국선열 2835명의 위패
    문잠긴 채 방치 서울 독립공원 현충사… 유족회 회장이 私財 털어 작년 4월에야 공개
    -정부·市·국민의 무관심
    운영비 지원 전혀 못받아
    日야스쿠니 500분의 1인 56평… 위패 더 세울 공간조차 없어
    학계선 "순국선열 15만명"
    정부 파악은 3300명뿐, 묘지도 전국에 흩어져 있어
    ▲  순국선열 위패가 모셔진 독립공원 현충사
    "일본에서는 총리가 나서서 일제 전범들의 위패(位牌)를 모아놓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다는데 정작 그들과 싸워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들은 우리 정부와 국민들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습니다." 11일 오전 10시 서울 서대문구 독립공원 한편에 자리 잡은 순국선열 위패봉함관 '현충사'. 무궁화 조화(造花) 한 송이가 놓인 헌화대를 지나 사당 입구로 들어서니 순국선열 2835명의 위패가 모습을 드러냈다. 가나다순으로 층층이 늘어서 있는 위패들 가운데 빨간색 스티커로 표시된 위패에는 안중근·이봉창·유관순 등 잘 알려진 독립운동가들 이름이 적혀 있었다. 현충사를 관리하는 순국선열유족회 김시명(69) 회장은"56평에 불과한 현충사는 일본 야스쿠니 신사나 대만 충렬사 등 이웃 나라의 유공자 사당과 비교하면 크기가 500분의 1도 안 된다"며 안타까워했다. 현재 현충사로 쓰이는 건물은 본래 구한말 독립협회의 독립관(원래 모화관)을 복원해 1997년 지어진 것인데, 소유권을 가진 서울시가 순국선열유족회에 관리를 위탁하면서 순국선열 위패를 모셔놓는 사당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정부나 시에서 일절 운영비를 지원하지 않아 지난 17년간 자물쇠로 단단히 잠겨 있었다. 작년 4월 김 회장이 취임한 이후에야 처음 일반인에게 공개됐다. 김 회장이 사재(私財)를 털어 현충사를 관리할 직원과 해설자를 고용하면서 겨우 운영이 가능해진 것이다. 11월 17일로 지정된'순국선열의 날'추모제에 매년 정부 지원금 600만원이 나오는 것 외에는 유족회에 들어오는 자금이라곤 1년에 월간지를 만들어 버는 돈이 전부 라 한다.
    ▲  김시명 순국선열유족회 회장이 11일 서울 서대문구 독립공원에 있는 순국선열 위패봉함관 현충사에서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에 대한 관심과 지원
    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현충사는 1997년 지어졌지만 정부나 서울시가 운영비를 지원하지 않아 작년까지 17년 동안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았다.
    /김연정 객원기자

    김 회장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국민의례를 하며 순국선열에 대해 묵념(默念)을 올린 기억이 있겠지만 정작 어떤 이들을 순국선열로 부르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라 했다. 흔히 애국지사로 알려진 인물들은 살아서 광복을 맞은 독립운동가를 지칭하지만,순국선열은 일제 강점기에 항일전투나 사형·고문 등으로 1945년 광복 이전에 사망한 독립운동가들을 뜻한다고 김 회장은 설명했다. 학계에서는 순국선열의 수를 약 15만명으로 추산하고 있지만 현재 국가에서 파악하고 있는 인물은 3300여 명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마저도 500여 명은 사당 규모가 작아 아직 위패를 모시지 못한 상황이다. 현재 국립현충원에도 애국지사들 묘역만 설치돼 있고 순국선열 묘는 전국에 흩어져 있다고 했다. 올해부터는 이런 상황이 좀 나아질 조짐이 보이고 있다. 행정자치부가 올해 순국선열의 날에 열리는 추모제 비용 중 1200만원을 지원하고, 주요 인사 초청 및 행사 진행 등을 돕기로 한 덕이다. 지난달 28일 순국선열유족회 관계자들을 만났던 정종섭 행자부 장관은 "(각종 지원 사업이) 순국선열들의 노력과 희생을 국민들에게 알리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 순국선열(殉國先烈) 일제 강점기에 전투·고문 등으로 광복을 보지 못하고 사망한 독립운동가. 살아서 광복을 맞은 독립운동가는 애국지사라고 부른다
    Dongascience Ndsl Biz Food Health Premium Chosun Donga Greatcorea Pluskorea Munhwa Popsci Economy Hankooki Joongang Joins Seoul Khan Newsis 문화재청 불교신문 Shindonga Sunday Joins Ecotopia Hani Vol        이경미 MediSolution 대표 drhealingfood@gmail.com 이복실 전 여성가족부 차관 bslee8812@gmail.com 이덕환 서강대 교수 duckhwan@sogang.ac 동아일보 기자 유태우 닥터 U와 함께 몸맘삶훈련'원장 dr.u@unhp.co.kr 정지천 동국대 분당한방병원 내과 과장 kyjjc1931@naver.com 강덕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교수 kangds@hufs.ac.kr 김연수 푸드테라피협회(IFTA) 대표 ifta@iftanet.com 오은경 동덕여자대학교 교수 euphra33@hanmail.net 홍성추 조선일보 객원기자(재벌평론가) sch8@naver.com 박훈상 동아일보 기자 tigermask@donga.com 허경구 국제정치문제연구소 이사장 aronge76@naver.com 조홍섭 한겨레신문 환경전문기자겸 논설위원 ecothink@hani.co.kr 김성윤 조선일보 대중문화무 기자 gourmet@chosun.com 김철중 조선일보 의학전문 기자,의사 doctor@chosun.com 박건형 조선일보 산업 2부 기자 defying@chosun.com 박유연 조선일보 디지털뉴스본부 기자 pyy@chosun.com 이영완 조선일보 산업부 차장 ywlee@chosun.com 강경훈 헬스조선 기자 kwkang@chosun.com 강수민 헬스조선 기자 ksm@chosun.com 김경원 헬스조선 기자 kkw@chosun.com 김금영 헬스조선 기자gy@chosun.com 김련옥 헬스조선 기자 kyo@chosun,com 김민정 헬스조선 기자 minjung@chosun.com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sjkim@chosun.com 김우정 헬스조선 기자 kwj@chosun.com 김태열 헬스조선 기자 kty@chosun.com 김하윤 헬스조선 기자 khy@chosun.com 김현정 헬스조선 기자 khj@chosun.com 문은정 헬스조선 기자 mej@chosun.com 박노훈 헬스조선 기자 pnh@chosun.com 배지영 헬스조선 기자 baejy@chosun.com 서영란 헬스조선 기자 guniw@chosun.com 유미지 헬스조선 기자 yoomj@chosun.com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lks@chosun.com 이미진 헬스조선 기자 leemj@chosun.com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lhn@chosun.com 이현정 헬스조선 기자 lhj@chosun.com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hj@chosun.com 홍유미 헬스조선 기자 hym@chosun.com

    草浮
    印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