萍 - 저장소 ㅁ ~ ㅇ/식품보감

37 5000년간 먹어온 대표 ‘약곡’ 수수

浮萍草 2015. 5. 8. 09:43
    5000년의 재배 역사를 가진 수수는 곡식 중에서 가장 먼저 여물어 척박한 아프리카 대륙에서도 생산이 활발하다. 농촌진흥청 제공
    식 중 가장 먼저 여문다는 수수는 오래전부터 우리와 더불어 살아온 곡물이다. 오곡밥, 수수부꾸미, 수수팥떡과 같이 중요한 날에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특별한 음식으로 만들어져 왔다. 전래동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서 호랑이가 썩은 밧줄을 잡고 수수밭에 떨어져 호랑이 피 때문에 수수의 잎과 줄기에 붉은 점이 생겼다는 이야기도 내려온다. 또 곡식을 턴 이삭은 수수 빗자루로, 이삭 줄기는 수수깡으로 사용된 친숙한 잡곡이다. 수수는 식물학적으로는 화본과 수수속의 한해살이 식물로 옥수수, 사탕수수와 가까운 식물이다. 뿌리가 깊어 건조한 날씨에도 견디는 힘이 강하다. 에티오피아 동부 지역이 원산지로 기원전 3000년쯤 이집트에서 재배되다가 아시아로 전파됐다. 곡물의 찰기에 따라 밥이나 떡을 해먹는 찰수수와 사료나 양조용으로 쓰이는 메수수로 나뉜다. 키로 구분하면 1m 안팎인 단간종과 2~3m로 자라는 장간종으로 구분된다. 수수와 가장 가까운 식물은 사탕수수와 옥수수다. 사탕수수는 열대 지방에서만 자라며 3~8m로 키가 크고 다년생이라는 점이 수수와 다르다. 옥수수는 수수와 외관상 상당히 비슷하지만 이삭이 맺힌 이후에 구분이 뚜렷하다.
    수수가루를 뜨거운 물로 반죽해 여러 가지 소를 넣어
    반달 모양으로 접어 기름에 지진 수수부꾸미.
    수수는 전 세계 3785만㏊에서 5810만t이 생산된다. 가뭄과 잡초에 강해 토양이 척박한 곳에서도 많이 재배된다. 아프리카에서는 수수가 주식으로 세계 재배면적의 60%, 생산량의 40%를 점유한다. 아메리카와 유럽은 면적과 생산량이 낮지만 면적당 생산량은 아프리카의 3배가 넘는다. 멕시코, 미국,아르헨티나,호주,브라질 등 축산업이 발달한 국가는 주로 사료용으로 재배한다. 아시아에서는 인도,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인도는 세계에서 재배 면적이 가장 넓은 나라다. 중국은 수수를 주로 주정용으로 사용한다. 미국과 아르헨티나가 수출을 많이 하고 멕시코와 일본은 수입국가 각각 1, 2위다. 우리나라에서는 재배 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를 보이고 있다. 지난 4월 현재 ㎏당 7000원의 도매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자급률은 2000년까지 50%를 유지하다가 2004년 7.7%까지 떨어졌다. 2010년부터 30%선을 유지하고 있다. 수입은 중국산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국내산과 가격 차는 ㎏당 4700원 정도다. 우리나라 대표 잡곡의 하나인 수수는 소비량의 90% 이상이 밥에 넣어먹는 혼반용으로 이용된다.
    찰기가 있는 품종이 밥맛에 좋아 혼반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웰빙 식생활을 추구하면서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잡곡은 도정하지 않고 통곡으로 먹는 경우가 많아 위장 운동을 촉진한다. 비만과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이다. 잡곡은 혼반용이라는 인식이 강해 이를 이용한 음식이 많다. 떡, 죽 등의 일부 음식은 전승되고 있다. 예로부터 잡귀를 물리치고 액을 면하게 하는 ‘수수팥떡’은 백일상과 돌상에 빠지지 않고 올라가는 단골손님이다. 곡식 중 제일 먼저 여무는 햇수수를 이용해 만드는 ‘수수옴팡떡’(수수벙거지,수수도가니)은 풋콩과 어우러져 구수한 맛을 낸다. ‘수수부꾸미’는 찹쌀과 수수가루를 뜨거운 물로 반죽해 여러 가지 소를 넣어 반달 모양으로 접어 기름에 지진 전병의 일종이다. 조금 까칠하지만 고소하면서 달콤한 냄새와 맛을 선사해 재래시장 등에서 인기다.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강원 정선 오일장,경기 양평군 개군면의 수수부꾸미는 관광객과 지역 주민에게 인기있는 간식거리다. ‘수수푸레기’는 식량이 모자랐던 시절 수수와 팥, 호박을 넣어 멀겋게 죽을 쑤어 밥 대신 끼니로 삼았던 음식이다.
    소화장애를 일으키는 글루텐이 없어 밀가루의 대체 재료로 쓰여 수수 식빵을 만들 수 있으며 농촌진흥청 제공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두부 등 건강 식품으로 개발되는 등 다양한 용도를 자랑한다.농촌진흥청 제공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 가능해 오랫동안 중요한 식량 자원으로 이용된 수수는 동의보감에 ‘성질이 따뜻해 위장을 보호하고 소화를 돕는다’고 기록돼 있다. 수수 성분은 녹말 56~73%, 단백질 11.3%, 지방 3.3% 외에 조섬유, 아연, 철, 인, 비타민B가 풍부하다. 수수 녹말은 분해가 늦어 당뇨병 환자에게 좋다. 폴리페놀, 탄닌 등 항산화성 성분도 풍부해 당뇨와 콜레스테롤 저하 염증 억제에 효과가 있다. 심근경색에 효과적인 폴리코사놀도 갖고 있어 말 그대로 ‘약곡’으로 불린다. 수수의 항산화활성이 조리 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식품에도 활용하고 있다. 다른 곡류들과 함께 살짝 익혀 갈아서 만든 선식으로 이용된다. 직장인과 젊은 여성층에서 인기다. 수수조청은 엿기름의 수분함량이 30~35%일 때까지 고아 만든 전통 감미료다. 만성기침, 기관지염, 천식 등에 좋다. 조선 왕실의 보양법에 따르면 왕세자가 공부에 들어가기 전에 꼭 조청을 먹었는데 이것이 반가로 전해져 조청이 과거 보는 선비들의 필수품이 됐다. 밀가루 소화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이를 대체하기 위한 수수 음식이 나오고 있다. 밀가루의 대용인 수수가루부터 즉석에서 먹을 수 있는 쿠키, 시리얼, 베이글, 초코바 등에 이용되고 있다. 조리 후에도 항산화 활성 성분이 유지되는 장점을 활용하는 차, 국수, 두부도 나오고 있다. 수수는 웰빙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만큼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아이템으로 고려할 만하다. 지역 음식과 풍경, 이야기를 연계하는 상품을 개발한다면 새로운 가치 창출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Seoul ☜       최명은 농촌진흥청 밭작물개발과 농업연구사

    ;  ;草浮
    印萍

    수수는 무한 변신 중
    천연 벽지·화장품·친환경 연료·미래 먹거리…쓰임새도 ‘무궁무진’ 수는 더이상 단순히 먹는 곡식이거나 악귀를 쫓는다는 의미를 가진 빗자루의 원료가 아니다. 천연 건축자재, 화장품, 친환경 연료, 미래 사료 등으로 수수의 용도가 변신하고 있다. 최근에는 수수를 이용한 건축자재 개발이 활발하다. 특히 수수 껍질을 이용해 만든 천연 벽지는 새 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포름알데히드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잡아준다. 잘 썩지 않는 수수의 특징을 활용해 수숫대를 격자 무늬로 역어서 벽의 강도를 높이는 자재로도 사용한다. 단열 효과도 뛰어나다. 수수에 들어 있는 에피게니니딘과 루테올리니딘 성분은 피부를 어둡게 하거나 주름을 만드는 효소의 활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최근 미백과 주름 개선을 위한 여성용 화장품 원료로 쓰이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수수에서 천연색소를 추출해 인체 친화형 플라스틱을 만들어 안경테도 개발했다. 단수수는 새로운 에너지 작물로 떠오르고 있다. 단수수의 즙액을 짜서 당분을 발효시키면 에탄올을 만들 수 있다. 생산 방법이 간단해서 사탕수수나 옥수수로 에탄올을 만들 때보다 비용이 싸다. 온실가스 배출량도 석유보다 최대 53% 적은 친환경 연료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설탕 원료로만 단수수 육종 및 재배를 연구해 왔다. 에탄올을 만들기 위한 연구는 2008년부터 시작됐고 2012년에 농진청이 바이오 에탄올 생산용 품종인 ‘초롱’을 육성했다. 수수는 미래 사료작물로도 주목받고 있다. 수수는 식물 전체를 사료로 이용할 수 있다. 수확 후 부산물까지 사료로 쓸 정도로 버릴 게 없다. 옥수수보다 생산비가 싸고 생산량은 많다. 듀폰, 노바티스 등 다국적 기업들이 사료작물을 육성하는 데 수수를 활용하고 있다. 수수 부산물로 만든 퇴비는 톱밥에 비해 수분 흡수율이 높아 토양의 수분을 조절하는 데 유리하다. 분해 기간도 다른 퇴비보다 열흘 정도 짧은 장점이 있다. 수수는 땅속에 쌓여 있는 염류도 없애준다. 수수의 긴 뿌리는 흙 사이에 공기를 넣어줘 땅의 지력을 높여준다. 수수는 같은 장소에 작물을 계속 심을 경우 영양소가 결핍되고 병해충이 생겨서 수확량이 떨어지는 연작 피해를 줄여준다. 수수는 세계적으로 술의 원료로 쓰인다. 한국 전통주인 ‘문배주’는 찰수수에 메조를 넣어 함께 빚는다. 수수는 주로 다른 나라에서도 백주(百酒)로 만드는데 중국의 ‘마오타이’, 고량주, 이과두주 등이 대표적이다.
    Seoul ☜      

    ;  ;草浮
    印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