萍 - 계류지 ㄱ ~ ㄹ/家族 ♥ 男女

4 남녀 차이

浮萍草 2014. 6. 13. 06:00
    男-강인함 능력 중시 존경 바라 女-온유함 친밀 중시 사랑 원해
    
    "여보 집에 오니까 밥이 없네요.” 
    “그러면 오늘은 밖에서 먹읍시다. 
    10분 후쯤 집 근처에 도착하면 전화할 테니 나와요.” 
    집에 먼저 도착한 맞벌이 아내에게 전화를 받은 김만석씨의 대답이다. 
    그날 저녁에는 화기애애하게 외식을 즐긴다.
    ▲ 남녀 차이로 갈등하다 화해하는 영화 ‘결혼 이야기’의 한 장면´.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물론 예전엔 똑같은 아내의 말에도 가정적인 김씨의 반응은 달랐다. “그러면 밥을 새로 해야겠네요. 거의 왔으니까 내가 집에 가서 밥할게요.” 이윽고 집에 도착하면 쌀을 안치고 기다리는 아내에게서 냉기가 돈다. 여성의 우회 화법을 몰라서 아내의 진심을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내가 말하려는 것은 밥이 없다는 사실 자체가 아니라 오늘은 밥을 하지 않고 나가서 먹고 싶다는 것이었다. 이처럼 남녀가 만나면 서로 다른 것이 너무나 많다. 우선 외향형과 내향형 등 성격 차이를 꼽을 수 있다. 성장 배경도 달라서 집안일과 담을 쌓은 아버지를 보며 자란 남성은 집안일을 도맡아 하는 아버지를 둔 여성을 만나 적응하는 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있다. 생식기 임신·출산·수유 기능 등은 신체적으로 타고난 성(sex) 차이다.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은 사회·문화적으로 길러진 성(gender) 차이다. 사내아이에게는 파란 배냇저고리와 담요,가방,무기나 자동차 장난감을 주고 울면 안 된다고 가르친다. 반면 여자아이들은 분홍 옷과 담요,가방,인형 장난감을 받고 함부로 행동하지 않도록 가르침을 받는다. “얌전하고 예쁜 아기구나”,“씩씩하고 튼튼하게 생겼네”처럼 칭찬받는 말이 성별에 따라 다르다. 강인함과 용기,통제력 등이 남성적 가치로 온유함과 표현성, 순응성 등이 여성적 가치로 제시된다. 그러다 보면 성별에 따라 기대가 다르고 성 역할의 고정관념으로 이어지기 쉽다. 남녀 간 심리적 차이도 있다. 남성은 목표 지향적이고 능력과 업적을 중시한다. 반면 여성은 관계 지향적이고 친밀과 배려를 중시한다. 표현 방식도 여성은 추상적이고 은유적인 용어를 쓰는 반면 남성은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용어를 사용한다. 기분이 좋지 않거나 문제의 해결책을 찾을 때 여성은 대화하지만 남성은 침묵한다. 남성은 감정 표현이 서툴고 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이해력이 낮지만 여성은 반대다. 부부 싸움을 한 뒤 여성은 화해해서 마음의 문이 열리기 전까지 부부 관계를 원하지 않지만 남성은 그것을 통해 화해하려고 한다. 존 그레이는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에서 남성은 상대방에게 필요한 존경받는 사람이 되길 바라고 여성은 상대방에게 사랑받는 사람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원하는 것도 남성은 신뢰,인정,감사,찬미,찬성,격려인 반면 여성은 관심,이해,존중,헌신,공감,확신이란다. 이렇게 다른 것이 많다 보니 서로 보완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불편할 수도 있다. 다름은 틀림이 아닌데도 우리는 다른 것을 틀리다고 말하거나 생각할 때가 많다. 이는 다툼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영화 ‘결혼 이야기’는 신혼부부가 남녀 차이 등을 절감하며 결혼 생활의 환상에서 벗어나 별거까지 갔다가 서로 후회하며 화해하는 내용이다. 최민수는 심혜진의 헤어드라이어 소리에 단잠에서 깨어나고 세면대에 수북한 머리카락을 발견하는 것이 불만스럽다. 반면 아내는 변기에 앉다가 남편이 흘린 오줌 방울의 느낌에 기겁을 한다. 치약을 끝부터 짜느냐 중간부터 짜느냐 등 사소한 일을 가지고 다툰다. 이에 대해 미국의 저명한 부부 상담 전문가 존 고트먼 박사는 “불행한 부부의 문제는 차이 자체가 아니라 차이점이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존 그레이는 “남녀가 다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라”면서 그것만으로도 배우자를 사랑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한다. 비난을 줄이고 자기가 원하는 것을 끈기 있게 요청함으로써 애정 어린 관계를 창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군자화이부동(和而不同) 소인동이불화(同而不和)’라는 말이 논어에 나온다. 군자는 화합하되 같음을 강요하지 않는 반면 소인은 같으나 화합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되 다를 뿐 틀렸다고 여기지 않고, 있는 모습 그대로 사랑할 필요가 있다.
    Seoul         김주혁 선임기자 happyhome@seoul.co.kr

     草浮
    印萍

     No means no!…‘데이트 성폭력’과 우회화법 
    데이트女 “성폭행 당했다” 가해男 한다는 말 녀가 데이트를 하다가 성폭력이 발생하기도 한다. 피해자의 동의 없이 가해자의 강요로 성관계가 이뤄지는 경우다. 그러나 가해 남성은 수사기관에서 피해자의 묵시적 동의 아래 이뤄진 일이라고 종종 주장한다. 여성이 “싫다”고 말해도 남성은 ‘사실 좋으면서도 싫다고 하는 것’으로 오해하기 때문이다. 음란물이 남성의 성폭력을 여성이 처음에는 거부하다가 나중에는 즐기는 식으로 잘못 묘사해 오해를 심어 주는 악영향도 있다. 여성의 우회 화법도 이 같은 대화의 오류와 관계가 있지 않은지 우려된다. 그래서 ‘No means no!’라는 말이 데이트 성폭력에 반대하는 슬로건으로 사용된다. 성관계를 맺으려는 남성에게 여성이“No”라고 하는 말은 진짜 거부를 뜻한다는 표현이다. 한국양성평등교육원 변신원 교수는“완곡어법은 의사소통에 문제를 초래하며 정확한 사실에 근거한 구체적인 화법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여성의 완곡어법을 과장하는 인터넷 유머 등은 모방을 통해 확대 재생산되면서 여성의‘노’를 ‘예스’로 잘못 받아들이게 할 우려가 더욱 크다고 지적했다. “오늘은 늦었으니까 데려다 주지 않아도 된다”는 여자 친구의 말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였다가 집에 도착하니 ‘우리 이제 헤어져’란 문자를 받았다는 식이다. 변 교수는“그럼에도 불구하고 ‘No means no!’는 존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사회의 여성 완곡어법의 형성 과정에 대해 사회문화적 토대 안에서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Seoul         김주혁 선임기자 happyhome@seoul.co.kr

     草浮
    印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