浮 - 채마밭/문화유산이야기

14 칠갑산 장곡사의 밥그릇부처

浮萍草 2015. 9. 9. 07:00
     
    ▲ (左) 보물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 (右) ‘칠갑산’ 노래의 내용을 형상화한 ‘콩밭 매는 아낙네상’
    남 청양은 전통적으로 구기자가 많이 나는 고장이지만 지금은 매운 고추의 대명사가 된 것 같다. 사실 우리나라 고추의 오래된 본고장은 경북 청송(靑松)과 영양(英陽)이라고 할 수 있다. 두 곳에서 한글자씩 따서 청양고추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런데 산지(山地)가 대부분인 청양은 태백산맥 서쪽의 청송·영양 만큼이나 일교차가 큰 내륙성 기후를 갖고 있다. 맛있는 고추의 생육에 매우 적절한 자연 조건이라고 한다. 여기에 청양(靑陽)이라는 땅이름이 청송 영양 고추의 전통을 이어받은 새로운 고추의 고장으로 명성을 날리게 하는데 도움이 됐을 것이다. 칠갑산은 이런 청양을 대표하는 명산이다. 가수 주병선이 1989년 발표한 ‘칠갑산’은 국악가요로는 유례없이 크게 히트했다. 지금도 노래방에 가면 ‘콩밭 매는 아낙네야, 베적삼이 흠뻑 젖는다. 무슨 설움 그리 많아, 포기마다 눈물 심누나’로 시작하는 이 노래를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다. 과거에는 칠갑산 주변의 첩첩산중에서 화전을 일구어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 노래 또한 화전민 어머니가 먹을 것과 바꾸어 어린 딸을 민며느리로 보내는 애끊는 사연을 그린 것이라고 한다. 지금 칠갑산 도립공원 들머리에는 ‘콩밭 매는 아낙네상(像)’도 세워졌다.
    ▲   청양 장곡사 대웅전

    칠갑산 등산로를 따라 조금 오르면 장곡사가 나온다. 다른 절집과는 달리 상(上) 대웅전과 하(下) 대웅전이 각각 보인다. 두 대웅전은 모두 약사여래를 주존으로 모시고 있다. 약사여래는 중생을 질병의 고통에서 구제하는 부처다. 약사여래는 무릎에 올린 왼손에 작은 그릇을 들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알기 쉽게 약사발이라고들 하지만,정확히 표현하면 ‘치유의 능력을 가진 우주의 대(大)생명력을 응축시켜 놓은 용기’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하대웅전 약사여래가 들고 있는 것은 약사발의 모습이 아니라 밥그릇이다. 그것도 포슬포슬 잘 지은 밥을 고봉으로 담아놓았다. 단아하고 균형잡힌 고려불상의 특징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아 보물로 지정된 불상이다. 충목왕 2년(1346) 만들었음을 확인한 것도 더욱 가치를 높였다.
    ▲   약사여래가 왼손에 들고 있는 밥그릇

    하지만 이 약사여래의 의미는 단순히 미술사적 가치에 머물지 않는다. 바로 이 밥그릇 때문이다. 약사여래가 조성된 14세기 중엽의 청양 사람들은 ‘칠갑산’ 노래의 배경이라는 20세기 초·중반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약보다 밥이 훨씬 더 소중했을 것이다. 결국 약사여래의 밥그릇은 가난한 이들에게는 끼니를 거르지 않게 하는 것이 곧 고통에서 구해주는 명약이라는 무언의 가르침이 아닐 수 없다. 하대웅전 약사여래의‘깊은 뜻’을 이해하고 공원 광장으로 내려와‘콩밭 매는 아낙네상’에 적힌‘칠갑산’노래의 가사를 다시 천천히 읽어보면 그 울림은 전과 같지 않다.
    Seoul        서동철 서울신문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草浮
                                            印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