浮 - 채마밭/헬스토리

1 햇빛 피하는 것은 선택, 쬐는 것은 당위입니다

浮萍草 2015. 8. 20. 20:40
    햇빛사냥
    
    장석주 시인의 시 ‘햇빛사냥’을 읽는다.
    
    ‘애인은 겨울벌판을 헤매이고
    지쳐서 바다보다 깊은 잠을 허락했다. 
    어두운 삼십 주야를 폭설이 내리고
    하늘은 비극적으로 기울어졌다. 
    다시 일어나다오, 뿌리 깊은 눈썹의
    어지러운 꿈을 버리고, 폭설에 덮여 오, 전신을 하얗게 지우며 사라지는 길 위로
    돌아와다오, 밤눈 내리는 세상은
    너무나도 오래 되어서 무너질 것 같다. 
    우리가 어둠 속에 집을 세우고
    심장으로 그 집을 밝힌다 해도
    무섭게 우는 피는 달랠 수 없다.
    가자 애인이여, 햇빛사냥을
    일어나 보이지 않는 덫들을 찢으며
    죽음보다 깊은 강을 건너서 가자. 
    모든 싸움의 끝인 벌판으로.’
    는 전체적으로 햇빛 세상에 대한 동경을 그리고 있다. 궂이 해나 빛을 말하지 않아도‘겨울벌판’이나 ‘깊은 잠’,‘밤눈’등속의 시어가 갖는 대칭적 반어 들이 자연스럽게 햇빛이라는 동경의 궁극에 가닿는다. 확실히 햇빛은 추운 시한(時寒)의 정서와는 대척적이며 그래서 밝고 따뜻하고 건강하다. 유쾌하고, 명랑한 것도 햇빛의 상징성이라고 할 수 있다. 햇빛에 대한 이런 의미 부여는 건강에도 고스란히 적용된다. ㆍ겉은 멀쩡하나 속으로 병드는 현대인
    현대인은 바쁘다. 정말 바쁘기도 하지만 바쁨에 길들여져 한가할 때도 바쁜 흉내를 내며 살아간다. 그래야 마음이 편하다. 바쁘지 않은 것을 용납하지 않는 세상에 그렇게 적응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세상은 비타협적으로 단호하다.
    적어도 바쁘지 않은 것,이를테면 생각이나 행동,판단이나 동향이 바쁘지 않은 상태를 이해하고 같이 가려 하지 않는다. 이런 현대인의 규격화된 삶은 당연히 햇빛과 차단될 수밖에 없다. 상식적인 얘기지만 햇빛은 바쁜 가운데는 잘 깃들지 않는 속성이 있다. 게다가 해가 쏘아대는 빛살은 꺾일지언정 구부러지는 법이 없는 탓에 그늘 속으로는 잘 찾아들지도 않는다. 그래서 현대인들은 포동포동 살이 쪘거나 근육질로 잘 다져져 있어도 외피는 허여멀겋다. 그러면서도 다들 안녕해 햇빛에서 무얼 얻는지도, 얻어야 할 지도 모르고 산다. 이렇게 생각해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만약 밭 가운데 있는 싱싱한 배추 한 포기를 뿌리째 화분에 옮겨심은 뒤 빛이 차단된 상자 속에 넣어 뒀다고 상상해보자. 이 배추가 며칠을 버틸 수 있을까. 빛이 없는 곳에서 배추가 감당할 수 있는 생명의 임계 시간은 그리 길지 않다. 그것이 배추가 아니라 닭이나 개 등 가금류라면 효과가 더 드라마틱할 것이다. 닭은 며칠 안 지나 수수깡처럼 말라비틀어진 목을 늘어뜨린 채 가쁜 숨을 몰아쉴 것이고 개는 눈을 까뒤집고 벽에 머리를 부딪히는 정신분열 증세를 보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이런 모든 것 대신 사람을 빛으로부터 차단된 밀폐 공간에 넣어두면 어떨까. ㆍ햇빛의 중요성과 유효성 다시 생각해야
    결과는 역시 치명적이다. 물론 한계시간 안에서는 별 이상이 없는 듯 보일 것이다. 그러나 마지노선을 넘어서면 사람이라고 배추나 닭,개 등속과 다를 이유가 없다. 가장 먼저 드러나는 증상은 대사장애일 것이다. 소화가 안 되고, 체중은 급격하게 줄며,빠르게 활력이 사라질 것이다. 이어 부종과 함께 동공이 풀리면서 아예 탈기해 엎어지거나 아니면 발작적으로 광란 조짐을 보일 수도 있다. 흔히 사도세자로 아는 장헌세자의 죽음을 돌이켜보자. 아버지의 노여움을 사 대궐 마당에서 뒤주에 갇혔다가 8일만에 절명하고 만다. 요즘처럼 부검을 했을 리도 없고, 의학적 관점의 검시 기록도 없다. 그러나 상황을 아는만큼 추리하고 추정할 수는 있다. 한 나라의 세자요, 지존이 보장된 신분이었으니 누군가 영조 몰래 약간의 음식과 물을 제공했다고 보면 그가 불과 8일 만에 절명했다는 것은 뜻밖이다.
    설령 그런 동정적 조치가 전혀 없는 상태였더라도 신선한 공기가 있고 햇빛이 쪼이는 곳이었다면 상황은 전혀 달랐을 것이다. 뒤주를 아는 사람이라면 무슨 말인 지 금방 알 것이다. 장헌세자가 갇힌 공간이 판자를 대어붙여 틈이 숭숭 빈 나무 상자가 아니라 정말 잘 만들어진 뒤주라면 산소도 금방 바닥났을 것이고 햇빛 역시 거의 새어들지 못했다고 봐야 한다. 필자가 어렸을 때 본 뒤주는 두꺼운 판재를 잇대어 짠 뒤 기름을 먹여 판재 사이에 빈틈도 없을 뿐더러 무척 견고했다. 거기에 갇힌 장헌세자가 굶주렸을 것임은 사실이지만 그것 뿐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체력은 바닥나고 숨 쉬기도 어려운 조건에 햇빛마저 막혀 나중에는 매우 심각한 착란 증세를 보이지 않았을까. 마치 사막에서 길을 잃은 사람이 죽음 직전에 신기루를 보듯. ㆍ조금씩, 자주 햇빛을 찾자
    좀 아는 사람들이 한사코 햇빛을 쬐라고 권고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의사들 얘기를 들어보자. “햇빛을 쬐지 않으면 체내에서는 합성되지 않는 비타민D가 부족해 각기병,골다공증 등 다양한 후유증이 나타 나게 되는데 그 악영향의 범주가 무척 넓어 아직 실태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면서“그렇다고 많은 햇빛이 필요한 건 아니다. 1일 20∼30분 정도만 햇빛에 피부를 노출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물론 긴 옷과 선캡, 선블럭 등으로 중무장(?)을 한 상태라면 햇빛 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 햇빛은 맨얼굴에 목덜미를 시원하게 드러내고 춥지 않다면 반바지에 반팔 차림이 좋다. 햇빛을 받는 부위가 넓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햇빛을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비단 비타민D 합성 때문에만 햇빛을 강조하는 건 아니다.
    햇빛은 앞서 인용한 시구에서도 나타나듯 정서나 심상에도 상상 이상의 영향을 미친다. 의사들이 우울증을 앓는 환자들에게 한사코 햇빛을 많이 쬐라고 권고하는 것도 이와 깊은 관련이 있다. 심한 우울증 환자들이 주로 흐린 날 의외의 행동을 하는 것도 살펴보면 햇빛과 무관하지 않다. 햇빛이 막힌 상태에서는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이 직접 영향을 받아 그만큼 우울 지수가 높아지게 된다. 당연히 우울 증상이 나타나는 회수가 늘고, 강도도 한층 세질 수밖에 없다. 일조량이 줄고 야외활동이 어려운 겨울에 우울증성 자살이 많은 건 이 때문이다. 그 뿐이 아니다. 햇빛은 심성을 형성, 유지하는 데도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다. 심성이 밝고 사고가 긍정적이며, 활동력이 강한 사람은 천성도 천성이지만 어려서부터 바깥활동을 많이 해 햇빛에 더 많이 접촉했을 가능성이 높다. ㆍ한국인의 햇빛 기피는 ‘백색 신드롬’
    종합하자면, 현대인의 건강 문제가 가진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햇빛 결핍’으로 정리할 수 있다. 무슨 ‘화이트신드롬’이 그렇게 강한지 햇빛 아래 나서는 걸 용납하지 못하는 세태도 우습거니와 햇빛에 피부가 조금이라도 그을릴라치면 마치 세상이 뒤집히기라도 할 것처럼 파닥거리는 행태는 한심스럽기까지 하다. 아무리 흰 피부가 대세라지만 그렇게 바득거린다고 타고난 유색인종의 운명이 바뀔 리가 없는데도 그걸 이루겠다는 발상은 섭리에 대한 도전일 뿐이다. 햇빛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간명하다. 햇빛을 쬐어서 잃는 것보다 얻을 게 많다면 주저없이 햇빛 속으로 나서면 된다. 밝은 날, 온 얼굴에 햇빛을 받으며 부드러운 바람 앞에 서보라. 당신은 지금까지 몰랐던 또다른 세상을 느낄 것이다. 가슴이 열려 모든 묵은 것들이 씻겨나가고 머리 속의 안개가 걷혀 생각이 청량해져 스스로 살아있음을 느낄 것이다. 햇빛을 피하는 것이 선택이라면 햇빛을 받는 것은 필수적 당위다. 자, 이제 모두들 두려움 없이 벌판으로 나서 햇빛을 사냥하자. 사진 포토리아
    Seoul        심재억 서울신문 의학전문 기자 jeshim@seoul.co.kr

    草浮
    印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