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 나이 40대에 눈 나이는 60대 '젊은 노안'이 늘고 있다
장시간 눈 자극으로 조직 파괴
젊은층 '물체 흐릿' 증상 증가
노년 질환으로 여기던 '녹내장'
50대 환자 4년 만에 60% 증가
 | ▲ 눈 건강을 잘 지켜야 삶의 질도 올라간다. 안과 전문의가 한 여성의 각막 상태를 검사하고 있다. /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
'젊은 노안(老眼)'이 늘고 있다.
나이에 관계 없이 시력이 떨어져 고통을 받는 사람이 늘고 노년층에만 주로 생기던 안과 질환도 젊은 층에서 많이 생기고 있다.
눈 자극이 심한 스마트폰 등 IT 기기를 장시간 사용해 생기는 부작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김안과병원 각막센터 김병엽 교수는 "IT 기기의 장시간 사용 등 눈을 혹사하면 활성산소가 많이 생긴다"며"활성산소는 눈의 조직을 파괴해 빨리 늙게 만든다"고 말
했다.
노안은 수정체의 탄력이 떨어져 가까운 곳에 있는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는 증상이다.
주로 40대 후반부터 나타나는 증상인데 최근에는 30대 환자도 많아졌다.
아이러브안과 박영순 대표원장은"피곤하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때 순간적으로 가까운 곳의 물체가 흐리게 보인다고 호소하는 젊은 환자가 많다"며"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결국 수정체의 기능이 영구적으로 떨어져 실제 노안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노화 때문에 생기는 눈 질환으로는 백내장,녹내장,황반변성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이런 질환이 발병하는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있다.
녹내장은 최근 40~50대 환자 수가 많이 늘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40대 환자 수가 2009년 6만7252명에서 지난해 8만9286명으로 33% 늘었고 50대 환자 수는 8만296명에서 12만8706명으로 60% 증가
했다.
백내장과 황반변성도 50대 환자 수가 각각 20%, 33% 많아졌다. 이 질환들은 모두 60~70대 이후에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Health Chosun ☜ ■ 김하윤 헬스조선 기자
草浮 印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