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 T = ♣/HEALING FOOD

열사병 이겨내는 잡곡

浮萍草 2013. 7. 4. 09:47
    입맛 돋우고 體熱 식히고… ‘더위 쫓는 삼총사’
    좁쌀, 보리와 백편두(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소화를 도우면서도 몸의 열을 내려줘 여름에 섭취하면 좋은 잡곡이다. 김호웅 기자 diverkim@munhwa.com
    위 먹어 아무리 밥맛이 없어도 그럴수록 꼭 챙겨 먹어야 하는 것이 밥이다. 밥의 탄수화물이 분해되면서 만들어 내는 포도당은 우리 몸의 원활한 신진대사를 위해 없어선 안 되는 성분이기 때문이다. 포도당이 뇌에 원활하게 공급돼야 생각도 할 수 있다. 그렇게 꼭 먹어야 할 밥이라면 심신을 지치게 만드는 더위를 이길 수 있도록 제대로 지어 먹어야 할 것이다. 한방에선 이와 관련 잡곡밥을 권한다. 동의보감 등 주요 한방서에 따르면 보리와 백편두, 좁쌀 등의 곡물류는 여름철 몸의 열을 식혀 주며 원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ㆍ보리(大麥)
    보리 하면 사람들은 가장 먼저 변비 예방효과부터 떠올린다. 실제로 보리에는 밀가루의 5배, 쌀의 16배에 해당하는 많은 식이섬유가 있다. 특히 보리의 식이섬유는 베타글루칸이라는 수용성 식이섬유인데 소장에서 지질·전분 등이 체내에 흡수되는 것을 방해해 비만 예방효과까지 거둘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여름철 보리의 진가는 몸의 열을 식혀 준다는 것이다. 동의보감에도 보리는 달고 차며 허한 것을 치료하고 열을 없애며 설사를 멈추게 한다고 쓰여 있다. 실제로 한의원에서도 무더운 여름철에는 열사병 예방을 위해 보리를 넣은 잡곡밥을 많이 권한다. ㆍ백편두(白偏豆)
    동의보감의 서(暑)편에 보면 ‘여름철 더위 먹은 것을 주하병(注夏病)이라고 하는데 다리가 아프고 입맛이 떨어지고 몸에서 열이 난다’고 하며 이를 치료하는 처방에 백편두가 들어간다고 돼 있다. 또 중국의 약초학 연구서인 본초강목에도 ‘백편두가 설사와 이질을 그치게 하고 더위 먹은 증상을 치료하며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습열을 제거하며 갈증을 그치게 한다’는 설명이 담겨 있다. 백편두는 위와 장의 기운이 떨어지는 것을 돕는데 특히 만성 설사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한방에서는 여름철 습한 더위로 소화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백편두에 쌀을 넣고 죽이나 밥을 만들어 먹으면 좋다고 권한다. 백편두는 민간에서 흰까치콩 제비콩 나물콩으로도 불리는데 소화를 돕는 작용 외에 면역력 증가와 항암효과 그리고 여름철에 흔한 냉방병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ㆍ좁쌀(粟米)
    대보름날 오곡밥을 지을 때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좁쌀이다. 좁쌀은 원산지인 중국과 인도뿐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에서도 오래전부터 재배됐다. 좁쌀은 볏과의 수수아과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 1∼2㎜의 작은 입자로 이뤄졌는데 단백질 지방질 함량이 높고 비타민과 무기질 성분도 풍부해 환자의 회복식으로 많이 권유되는 식품이다. 한방의학서 중약대사전에 보면 좁쌀의 효능에 대해 ‘약성은 약간 차고 시다. 비장을 보한다. 신장을 튼튼하게 하여 소변을 잘 내보내며 위장의 열을 내려 소화기능을 정상화하며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여름철 덥고 습하여 발생하는 위장기능 저하 및 더위 먹은 증상에 도움이 된다’고 돼 있다. 한편 무더위에 찬 음료나 아이스크림 등을 자주 먹어 배가 아플 때가 있다. 특히 아이들은 야간에 참외나 수박 같은 차가운 성질의 과일을 먹고 복통을 호소하거나 배를 내놓고 자다가 배가 아프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성질이 차가운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해 생긴 복통이다. 심야시간이라 병원 방문도 어려운데 이럴 때 도움이 되는 것이 생강이다. 생강은 따뜻한 기운의 음식으로 동의보감에서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매우며 독이 없다고 했다. 생강은 담을 삭히며 기를 내리고 토하는 것을 멎게 한다. 또한 생강은 습기를 없애고 딸꾹질하며 기운이 치미는 것과 숨이 차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해 준다. 참외같이 성질이 차가운 과일을 먹었을 때 생강을 얇게 저며서 설탕에 조려 말린 편강을 한쪽 먹으면 복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움말 왕경석 대전 헤아림한의원 원장· 최방섭 서울특별시 북부병원 한방과 박사
    Munhwa     이경택 전국부 부장 ktlee@munhwa.com

     草浮
    印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