萍 - 저장소 ㅁ ~ ㅇ/이야기가 있는 불교미술관

40. 부처님의 반열반

浮萍草 2013. 11. 23. 07:00
    사라수 아래, 열반에 든 스승과 애통한 제자들
    2~3세기, 대영박물관, 영국 런던.
    처님은 오랫동안 중생들을 위해 법을 설한 후 고향으로 돌아가던 중,말라족이 다스리는 꾸시나라에서 열반에 드셨다. 부처님의 일대기 가운데 부처님의 열반은 다른 장면과 달리 독립된 경전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열반경’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대승불교의 ‘열반경’과 초기불교의 ‘열반경’이 그것이다. 부처님의 입멸을 소재로 한 불전도 가운데 간다라 열반 도상이 중요한 것은 불교계에서 처음으로 옆으로 누운 사자(死者)로 부처님 을 표현했다는 점이다. 횡와(橫臥)의 부처님을 중심에 배치한 간다라 열반도는 부처님께서 열반하기까지 일어난 여러 이야기를 한 장면에 압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간다라 열반 도상의 가장 큰 특징인 부처님이 옆으로 누운 자세를 취한 이유를 ‘해심밀경소’에서는“부처님께서 누워서 열반에 들고 앉아서 열반하지 않은 것은 속임수를 여의었다는 것을 나타내려 했기 때문이다. 만약 부처님께서 앉아서 열반에 들었다면 곧 믿지 않는 이는 ‘이것은 바로 속임수이다. 어떻게 죽은 사람이 단정히 앉을 수 있단 말인가?’라고 말할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누구나 부처님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몸소 보여준 것이며 일겁(一劫)을 더 머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반에 든 부처님의 유지(遺志)가 잘 담겨 있다. 즉 모든 것은 항상하는 것이 없고 변한다는 제행무상(諸行無常)을 몸소 보통 사람의 모습으로 보인 것으로 신비화된 고승의 열반 모습과 대비되는 대목이다. 두 그루 사라수 사이에 놓인 침상 위에 열반에 든 부처님이 있다. 침상 앞에 등을 보이고 앉아 있는 인물은 마지막 제자 수밧다로 생각되며,바닥에 쓰러져 있는 인물은 스승의 열반을 애통해 하는 아난이다. 아난을 위로하는 아나율의 그 앞에 서 있으며,아나율 뒤에는 부처님의 호위자였던 금강저를 든 금강역사가 손을 올린 채 슬퍼하고 있다. 부처님의 발치에는 부처님의 열반 소식을 이교도로부터 전해듣는 대가섭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부처님 뒤에는 슬픔에 잠긴 말라족의 다양한 모습이 드라마틱하게 표현되고 있다.
    Beopbo Vol 1121        유근자 박사 한국미술사연구소 연구원

      草浮
    印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