浮 - 채마밭/문화유산이야기

5 은진미륵’이라 불리는 관음보살

浮萍草 2015. 9. 3. 08:00
     
    ▲ (左) 은진미륵은 비례가 맞지 않는 조각이라는 비판이 있지만, 발치에 다가서 올려다 보면 비교적 균형 잡힌 석불에 근접한 모습이다. ▲ (右) 흔히 은진미륵
    이라 불리는 충남 논산 관촉사의 고려시대 석조보상입상과 석등.
    남 논산의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은 흔히 ‘은진미륵’이라고 불린다. 높이 18.2m의 고려시대 거대불상은 오래전부터 미륵으로 굳게 믿어졌다. 지금도 석불을 배례하는 전각에는‘미륵전’이라는 현판이 내걸려 있으니 장차 세상을 구원할 미륵이라는 확신은 오늘날에도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유산에 대한 한가지 오해가 있다.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문화유산이라면 오늘날 시각에서는 글자 그대로 문화적 유산임에 틀림이 없다. 하지만 창건되거나 조성된 시기에도 문화적인 이유로 이뤄졌는지는 한번쯤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대표적인 조선시대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경복궁과 숭례문을 비롯한 궁궐과 한양성곽의 각종 구조물은 문화적 이유로 만들어지지 않았다. 은진미륵 또한 신앙의 대상으로만 조성된 것은 아니다. 고려 같은 불교국가에서 대형 불사(佛事)는 너무나도 당연히 정치 행위였다.
    ▲  석불과 석등을 배례할 수 있도록 지어진 절집에 미륵전이라는 현판이 붙어있다

    은진미륵은 그동안 존호를 둘러싼 논란이 적지 않았다. ‘미륵보살이냐 관음보살이냐’ 하는 논쟁이었다. 그런데 은진미륵은 미술사학자들이 잘 쓰는 표현대로 관음보살의 도상적 특징을 너무나도 선명하게 갖추고 있다. 조성 당시 이마에 화불(化佛)이 새겨졌고 손에는 연꽃가지를 들고 있었다는 기록이 그것이다. 그럼에도 학계 일부가 미륵이라는 전칭(傳稱)에 미련을 두었던 것은 정치적 역학관계를 염두에 두지 않은 때문으로 짐작한다. 은진미륵은 고려 광종 19년(968) 조성을 시작해 목종 9년(1006) 완성했다. 광종은 잘 알려진대로 과거제를 도입해 지방호족의 자제가 칼 대신 붓을 잡게 만든 인물이다. 그렇게 중앙집권국가의 체제를 공고히 하는 과정에서 후백제와의 결전지였던 논산에 거대 석불을 조성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과거 적국 및 변방의 주민들에게 조정의 위세를 보여주면서 관음보살의 권능처럼 현세의 고통을 덜어주겠다는 일종의 약속을 담은 것이다.
    ▲  미륵전 내부에서 유리창 너머로 바라본 은진미륵

    그럼에도 미륵으로 믿어진 것은 왕실의 정치적 회유가 전혀 먹혀들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왕실은 고통을 견디며 권력에 순응하라는 상징성을 담아 관음을 만들었지만 역설적으로 민초는 그 관음조차 새로운 세상을 가져다 줄 혁명의 지도자로 믿었다는 뜻이다. 그러니 은진미륵이라는 존호는 무지에 따른 오류가 아니라 관음도 미륵으로 믿으며 의지하고 싶은 민초의 적극적 해석에 따른 의도적 오류라 할 수 있다. 논산 사람들과 은진미륵 뿐이겠는가. 오늘날에도 민초는 누구나 마음속에 은진미륵 하나씩을 품고 있다.
    Seoul        글·사진 서동철 서울신문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草浮
                                            印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