萍 - 저장소 ㅁ ~ ㅇ/옛글에서 읽는 오늘

한글과 엘리트

浮萍草 2014. 10. 17. 10:16
    는야 조선 사람,조선시 즐겨 쓰리(我是朝鮮人 甘作朝鮮詩)”라고 읊었던 다산 정약용이지만 그의 시문은 모두 한자로 되어 있다. 
    독자가 처음부터 한자를 아는 지식 엘리트층으로 제한되었다. 
    다산의 형인 정약종은 천주교 해설서 <주교요지>를 썼는데 순 한글로 되어 있다. 
    부녀자 등 일반 대중도 읽기 쉬웠다. 
    천주교 대중화의 길이었다. 담헌 홍대용은 중국에 다녀온 기행기로 한문본과 한글본 두 가지를 남겼는데 예상되는 독자가 달라 그 내용이나 체제도 살짝 달라졌다. 
    한글이 발표되자 반대론자들은 중화주의와 엘리트주의에 입각해 비판했다. 
    이에 대해 한글을 오로지 국수주의나 반(反)엘리트주의 시각에서만 볼 것은 아니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이란 명칭에서 알 수 있다. 
    ‘정음(正音)’이란 한자의 발음을 정확히 하는 것이다. 
    한문을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하는 취지다. 
    실제 한글은 한문 습득을 위한 선행과정으로 활용됐다. 
    양반 자제들도 집안에서 서당에서 자연스럽게 한글을 습득했다. 
    ‘훈민(訓民)’, 즉 백성을 가르친다는 것은 엘리트주의적 발상이다. 
    한글은 유교적 통치인 교화의 수단이었다. 
    그러나 당초 ‘어리석은’ 백성이 억울함을 호소할 수단으로 예정되어 있었고 나중엔 서민들이 정치적 반대를 할 때 한글을 활용하기도 했다.
    담헌은 ‘여문헌서(與汶軒書)’에서 우리나라(東國)에는 따로 언문글자(諺字)가 있다면서 이렇게 소개했다. 
    “그 음은 있고 그 뜻이 없으며 글자 수가 200이 안되지만 자모(子母)가 서로 어울려 1만개의 음을 갖춥니다. 
    부인과 서민, 한자를 모르는 사람이 언문글자를 함께 써서 바로 지방말로 글을 만들며 간찰,장부문서,계약서의 뜻이 분명히 드러나 순 한문(眞文)보다 혹 낫습니다.          
    비록 전아하진 않지만 그것이 깨우치기 쉽고 쓰기에 알맞아 인문(人文)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어려운 문자는 그것을 습득하는 데 이미 과도한 힘을 빼앗을 뿐 아니라,소수만이 문자생활을 누리게 하고,언어 인구를 1등 국민과 2등 국민으로 계층화한다. 
    한글은 담헌이 인식한 대로 도구적 실용성을 갖고 있었다. 
    부녀자와 서민들도 문자생활을 향유하게 했고 부부 사이에 다정한 편지를 쓸 때도 활용되는 등 소통을 확대했다.
    집단지성이 강조되는 오늘날이지만 엘리트주의의 폐해가 여전히 지적되고 있다. 
    그런데 서민 친화적인 한글을 누가 만들었는가.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 즉 소수 엘리트였다. 
    소수 엘리트의 창조적 활동에 의해 다중의 실용과 넓은 소통이 성취된 사실을 주목한다.
    
    Khan Joong☜       김태희 실학21네트워크 대표

      草浮
    印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