萍 - 계류지 ㄱ ~ ㄹ/고려사 재발견

김부식과 묘청의 난

浮萍草 2013. 10. 27. 10:03
    학자 김부식, 인종도 쩔쩔매는 냉혹한 권력자 변신
    고려문신이자 유학자인 김부식 선생의 표준 영정. 작은 사진은 삼국사기. /중앙포토
    1123년(인종1) 송나라 사신 서긍은 김부식(金富軾: 1075~1151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인물평을 남겼다. “김부식은 풍만한 얼굴과 커다란 체구에 얼굴이 검고 눈이 튀어나왔다. 널리 배우고 많이 기억해 글을 잘 짓고 예와 지금의 일을 잘 알아 학사들에게 존경을 받기로는 그보다 앞설 사람이 없다.”(『고려도경』 권8 인물조) 한 달가량 고려에 체류한 그가 남긴 평가 속에는 그가 전해들은 고려인의 얘기가 섞여 있어 당대 고려인의 평가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어쨌든 서긍의 눈에 비친 49세의 김부식은 고금(古今)을 꿰뚫는 박람강기(博覽强記: 박식하고 총명함)의 기백을 지닌 당대 최고의 학자였다. 실제로도 그러했다. 그러나 묘청(妙淸)의 난이 진압된 지 4년이 지난 1139년(인종17) 김부식의 모습은 이와는 달랐다. 국왕 인종과 나눈 대화 내용이다. “(인종은) 김부식에게 송나라 사마광(司馬光)의 여러 글을 읽게 하고 그를 칭찬하면서 ‘사마광의 충성스러운 절의가 이렇게 훌륭한데 왜 사람들은 당시 그를 간사 하다고 했는가?’ 하고 물었다. 김부식은‘왕안석의 무리들과 서로 좋지 않았기 때문이지 잘못은 없습니다’라고 답했다. 왕은 ‘송나라가 망한 것은 왕안석 때문임이 분명하다’라고 했다.”(『고려사절요』 권10 인종17년 3월)
    ㆍ왕권에 집착한 국왕 인종의 자충수
    김부식은 부국강병책을 시도한 송나라 왕안석의 신법보다는 기존 질서를 고수하려 한 사마광의 구법(舊法)을 더 높이 평가했다. 김부식은 왜 그런 말을 했을까? 그는 4년 전 묘청의 난을 진압한 총사령관이었다. 왕안석에 빗대어 금나라 정벌과 서경 천도와 같은 변법(變法: 신법)이 나라를 위기에 빠뜨릴 위험이 있음을 인종 에게 알리려는 것이 그의 진심일 것이다. 인종은 왕안석의 신법이 송나라 멸망의 원인이라고 말해 김부식의 생각에 동의했다. 이 대화 속에서 묘청과 손을 잡고 개경 귀족을 억누르고 새 정치를 추구한 인종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인종 즉위 초에 최고의 학자인 김부식은 약 20년이 지난 이제 국왕도 어찌할 수 없을 정도로 최고의 권력자로 변모 했다. 왜 이렇게 상황이 급변했을까? 오로지 국왕 인종의 자충수 때문이다. 1126년(인종4) 이자겸은 제거되었지만 ‘개경 정치’에 대한 불신은 더 깊어갔다. 그 부담은 인종이 떠안을 수밖에 없었다. 궁궐이 불타고 왕권이 실추된 것은 그 다음의 문제였다. 인종은 새로운 정치를 모색한다. 정치의 중심 무대를 개경에서 서경으로 옮기려 했고 그에 화답한 세력이 개경 정치에 불만을 가진 서경의 묘청, 백수한(白壽翰), 정지상(鄭知常) 등이다.
    그들은 1128년(인종6) 8월 인종이 서경을 방문했을 때 서경에 새 궁궐을 짓고 새 정치를 할 것을 주문한다. “묘청 등은 말한다. ‘서경 임원역(林原驛)의 지세는 음양가에서 말하는 대화세(大華勢)입니다. 궁궐을 세워 이곳으로 옮기면 천하를 합병할 수 있습니다. 즉 금나라가 스스로 항복하며 36국이 모두 (고려의) 신하가 됩니다’라고 했다. …또 묘청의 무리는 왕이 황제라 칭하고 독자 연호를 사용하고(*稱帝建元) 유제(劉齊: 금나라의 지원을 받은 한족에 의해 세워진 대제국(大齊國)의 왕)와 협공해 금나라를 없애자고 했다. 식자(識者)들이 다 불가하다 했으나, 그들은 계속 주장했다.”(『고려사』 권127 묘청 열전) 새 궁궐지는 대화세(大華勢) 즉 나무에서 꽃이 피는 대화세(大花勢)로서 풍수지리상 명당이고 길지라는 것이다. 이곳에 궁궐을 지어야 금나라는 물론 주변의 많은 나라가 고려에 항복한다는 것이다.
    ㆍ김부식, 공신 칭호 받고 정계 실력자로
    1129년(인종7) 1월 서경에 신궁(新宮)인 대화궁(大華宮)이 완성된다. 다음 달 인종은 서경에 간다. 1131년(인종9) 8월 대화궁의 외성(外城)인 임원궁성(林原宮城)이 완성된다. 이자겸이 제거된 게 1126년(인종4)이니 불과 3∼4년 만에 서경이 정치의 새로운 중심지로 급부상한 것이다. 국왕 인종이 묘청 세력을 끌어안아 이러한 상황을 만든 것이나 다름없다. 서경 천도가 거의 확정될 무렵 개경 귀족세력이 크게 반발한다. 이자겸과 함께 사대정책을 주도한 김부식과 이자겸 대신 외척이 된 정안(定安: 지금의 전남 장흥) 임씨의 임원애(任元敱) 등이 앞장서 반대한다. “(1133년 8월) 임원애는 ‘묘청과 백수한 등은 간사한 꾀를 부리고 해괴한 말로 민심을 어지럽혔습니다. 몇몇 대신과 근신도 묘청의 말을 따라 국왕을 잘못되게 했습니다. 장차 생각지도 못할 환란이 있을까 두렵습니다. 묘청 등을 저잣거리에서 죽여 화의 싹을 끊으십시오’라고 상소했다. 국왕은 답하지 않았다.”(『고려사』 권127 묘청 열전) 묘청을 처벌하자는 임원애의 주장은 개경 문벌귀족의 입장을 대변한 것이다. 김부식은 1134년(인종12) 인종의 서경 행차에 이렇게 못을 박는다. “묘청 일당이 국왕을 서경에 오게 하여 역모를 꾀하려 했다. 이에 대해 김부식은 ‘이번 여름 서경 궁전에 벼락이 쳤습니다. 벼락 친 곳으로 재앙을 피하러 가는 것은 이치에 어긋납니다. 가을 곡식을 아직 거두지도 않았는데 행차하면 벼를 짓밟아 농사에 방해가 됩니다. 이는 백성을 사랑하는 일이 아닙니다’라고 서경 행차에 반대했다. 왕은 행차를 중단했다.”(『고려사절요』 권10 인종 12년 9월) 김부식의 제동으로 인종의 서경 행차가 없는 일이 되었다. 서경 천도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사실을 안 묘청 일파는 1135년(인종13) 1월 서경에서 마침내 반란을 일으킨다. “묘청은 조광(趙匡) 등과 함께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임금의 명령을 위조해 서경유수와 관원을 잡아 가두고 서북면(지금의 평안도 일대) 일대의 군사 지휘자와 서경에 거주하는 개경 사람은 귀천을 막론하고 모두 잡아 가두었다. 군사를 파견해 서경과 개경으로 오가는 길목을 차단했다. 서북면 일대 여러 성의 군사를 징발했다. 나라 이름을 ‘대위(大爲)’라 하고 연호를 ‘천개(天開)’라 했다. 정부의 관서를 조직하고, 군대 이름을 ‘천견충의군(天遣忠義軍)’이라 했다. 묘청이 조광 등과 함께 군마(軍馬)를 호령하여 두어 길로 나누어 곧장 개경으로 향했다.”(『고려사절요』 권10 인종13년 1월조) 난이 일어난 지 두 달 뒤인 이해 3월 김부식은 묘청의 난을 토벌할 사령관에 임명된다. 진압 작전에 나선 그는 약 1년 만인 이듬해 2월 난을 진압한다. 국왕은 그에게 ‘충성을 다해 난을 바로잡아 왕조를 안정시켰다’는 공신 칭호(*輸忠定難靖國功臣)를 준다. 이로써 그는 정계의 최고 실력자로 군림한다.
    ㆍ신라 중심 사관과 유교 통치이념 확립
    다섯 임금을 섬겼던 김부식은 곧바로 권력을 휘두른다. 진압사령관 시절 자신의 막료이자 윤관의 아들이기도 한 윤언이(尹彦頤)의 처벌을 국왕에게 건의한다. “김부식이 말했다. ‘윤언이는 정지상과 결탁하여 서로 죽기로 맹세하고 한 무리가 되어 크고 작은 일을 함께 의논했습니다. 1132년(인종10) 국왕께서 서경에 행차하셨을 때 독자의 연호와 황제로 칭할 것을 요청하고 국학의 학생들에게 이 일을 상소케 했습니다. 이는 금나라를 격분시키는 일이며 그 틈을 타서 자기 무리가 아닌 사람을 없애고 반역을 꾀하려 했습니다. 결코 신하로서 할 짓은 아닙니다’라고 했다.”(『고려사』 권96 윤언이 열전) 신법에 부정적이었던 김부식은 숙종·예종 때 신법을 추진한 윤관의 아들 윤언이도 그런 존재로 여기고 ‘반역 음모를 꾸몄다’고 주장해 그를 제거하려 했다. 국왕도 어쩔 수 없이 양주(梁州: 지금의 경남 양산) 지방관으로 좌천시켰다가, 6년 후 광주(廣州)목사로 임명해 윤언이의 명예를 회복시켜 준다. 그제야 윤언이는 자신에게 잘못이 없다는 상소를 올린다. “연호를 제정하자고 건의한 것은 임금을 높이려는 순수한 마음입니다. 우리나라에도 이미 태조와 광종의 전례가 있습니다. 신라와 발해도 그렇게 했으나, 큰 나라(*당나라)가 한 번도 정벌하지 않았습니다. … ‘금나라를 격분시켰다’는 말은 앞뒤가 맞지 않습니다. 강한 적국이 우리 강토를 침략하면 막기에도 겨를이 없을 터인데 어찌 틈을 타서 반역을 꾀할 수 있겠습니까? …저는 대화궁을 짓자는 논의에 가담하지 않아 정지상과도 다릅니다.”(『고려사』 권96 윤언이 열전) 김부식은 자신과 정치적 견해가 다른 정적을 내칠 정도로 냉엄한 권력자로 변모했다. 1142년(인종20) 김부식은 현직에서 사퇴한 후 왕명으로 『삼국사기』를 편찬하기 시작해 1145년(인종23) 완성한다. “지금의 학사대부들은 중국 경전과 역사는 잘 알고 있으나 우리나라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삼국은 일찍 중국과 예로 통해 그들의 역사서 한서(漢書)나 당서(唐書)에 삼국의 사실이 실려 있다. 그러나 소략하게 다루어 자세하지 않다. 우리나라 옛 기록은 문장이 졸렬하고 내용이 소략하여 군주의 선악 신하의 충사(忠邪) 국가의 안위(安危) 인민의 치란(治亂)을 모두 나타내지 못하고 또 교훈을 주지 못한다.”(『동문선(東文選)』 권44「진삼국사기표(進三國史記表)」) 학자들이 우리나라 역사를 잘 모르고 내용이 소략하기 때문에『삼국사기』를 편찬한다는 이유를 들었다. 그러나 그는 서경 천도운동의 역사의식인 고구려 중심 사관을 수정해 신라 중심의 사관을 확립하려 했다. 또한 묘청의 난 이후 정국 혼란을 수습하고 유교 정치이념을 확립하기 위해『삼국사기』를 편찬한 것이다. 정치뿐만 아니라 문화와 사상까지도 그의 뜻대로 움직이기를 바랐던 것일까? 정국은 다시 개경 문벌귀족이 주도하는 형세로 바뀌었다. 그러나 절대 권력은 반드시 부작용을 낳는다. 권력의 정상에 우뚝 선 그의 발 밑으로 ‘무신정변’이라는 엄청난 정치적 격랑이 밀려오는 조짐을 그는 모르고 있었다.
    Sunday.Joins Vol 346     박종기 국민대 교수 j9922@kookmin.ac.krr

     草浮
    印萍